해운관련뉴스

종합서비스센터


200410 동아일보 / ‘무역대국 한국’ 만든 선원들[김인현의 바다와 배, 그리고 별]〈30〉

조회 51,667

박미래 2020-04-14 15:20:55

 

'무역대국 한국' 만든 선원들 [김인현의 바다와 배, 그리고 별]〈30〉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선장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이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는 바이킹의 후예도, 콜럼버스처럼 목숨을 바쳐 신대륙을 개척한 민족의 후예도 아니었다. 한국 선주들은 어떻게 해운업을 시작할지 막막했다. 먼저 한국 선원들은 미국과 일본 선주의 선박에 승선해 일하는, 소위 송출을 나갔다.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일이다. 이 선원들을 송출하던 회사들이 1980년대 들어 자본력을 바탕으로 선박을 확보해 선주사로 거듭났다. 송출 대상이었던 선원들은 신생 선박 회사의 임원이 되어 선박을 관리했다. 송출 선원 출신이라면 선박 관리나 화물 운송을 맡길 수 있다는 신뢰가 쌓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신뢰관계 속에 송출 선원들이 선박을 운항하면서 우리 해운업은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한국 선원들은 휴가 없이 1년 이상 계속 승선하는 참을성이 있었다. 서양 사람들은 6개월에 한 번은 휴가를 갔다. 회사는 교대 비용과 휴가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1년 이상 승선하는 우리 선원들을 더 선호했다. 한국 선원이 가장 돋보이는 경우는 급히 ‘선창 소제’를 해야 할 때였다. 중국에서 원목을 양륙하고 나자 선장은 회사로부터 전보를 받았다. “이틀 내로 일본에서 철제를 실을 준비를 마칠 것.” 불가능한 일이었다. 원목 작업 후에는 껍질이 엄청나게 나온다. 1m 정도로 껍데기가 쌓여 있다. 이틀 내에 선창 5개의 원목 껍데기를 어떻게 치울 수 있는가. 보통 일이 아니다.

 선교에서 당직을 서는, 선장을 제외한 전 선원은 선창으로 내려간다. 모두 삽질을 한다. 해도 해도 끝이 없다. 원목 껍데기를 슬링에 담아 크레인으로 올려 바다에 버려야 했다. 꼬박 이틀 밤을 새워 일을 마무리한다. 항구에 들어가서 검사원이 올라와 합격 판정을 해준다. 서양 선원들이라면 육지에서 사람을 올려 달라고 해 일을 처리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선박이 이틀을 쉬니 선주로서는 10만 달러가량 손해가 난다. 선주 입장에서는 이러한 손해가 생기지 않도록 밤을 새워 일해 주는 한국 선원들이 얼마나 고마웠겠는가. 이렇게 한국선원들은 신용을 얻었고 최대 5만 명의 송출 선원들이 1990년대 중반에는 연간 5억 달러의 외화를 벌었다.

 

 어떻게 해서 이런 일들이 가능했을까. 선원들은 가정을 책임지고 바다로 나왔다. 바다에서 일을 하며 희생하면 그 대가로 육지에서 가족들이 편하게 생활하고 교육도 받을 수 있으니까 참고 일을 했던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선장과 기관장 등 사관들의 마음 자세였다. 해양대생들은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겨 왔다. 학창시절 M1 총을 들고 토요일마다 영도 일주를 했다. 3시간 구보였다. 기진맥진 낙오할 지경에 이르렀지만 쓰러질 것 같은 고비를 이겨내기를 수십 번도 더했다. 이런 극한 상황을 수십 번 경험한 사람은 작업 현장에서 선원들과 같이 땀을 흘리며 밤을 새워도 주어진 임무를 마칠 수 있다. 지금 다시 하라면 못할 것 같은 그런 일들을 한국 선원들만이 할 수 있었다. 그렇게 쌓인 신용이 오늘날 무역대국과 한국 해운을 존재하게 했음을 기억하자. 또 선원의 안전, 충분한 휴식 및 합당한 보상이 우선이라는 점도 간과하지 말자.
 

*이 글은 2020년 04월 10일 동아일보에 게재된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