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와 선주협회가 단일선체 유조선의 운항금지 일정을 놓고, 의견 충돌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8일 로이즈 리스트에 따르면, 일본 선주 협회 타카오 쿠사카리(Takao Kusakari) 회장(NYK 회장)은 최근 개최한 정례 기자회견에서
- 지난해 국제해사기구(IMO)가 채택한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에 따라 단일선체 유조선의 경우 선체 안전평가를 받는 경우 2015년까지 운항할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 일본 정부는 이 같은 일정과 관계없이 모든 일본 선적 단일선체 유조선에 대해서는 2010년까지 운항을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 쿠사카리 회장은 국토교통성에서 이 같은 일정을 고집하는 이유가“순전히 일본이 세계 선진 해운선진국의 하나라는 데 있다고 비판하고,
- 선주 협회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운국과 두 차례 회의를 가졌으나 서로의 입장차이를 거듭 확인하는 데 그쳤다고 주장했다.
- 그는 또 일본 선주협회는 정부에서 단일선체 유조선의 운항금지 일정을 고수하고 있는 것에 대해 유감이라고 밝히고,
- 일부 협회 회원사의 경우 이중선체 유조선의 이행일정을 늦출 계획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 한편, 일본의 3대 유조선사인 NYK와 MOL, K-Line은 최근 들어 일본 연안에서 유류오염사고가 빈발하고, 국제적으로 오염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 2007년까지 자사 소속 모든 대형 유조선을 이중선체화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일본 조선소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같은 일정은 같은 규모의 다른 외국선사보다 상당히 빠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