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관련뉴스

종합서비스센터


바하마, 미국과 핵 물질 수송 차단 협정

조회 7,143

관리자 2005-02-01 14:12:24

- 바하마는 최근 미국 에너지부가 주도하는 이른바 '대형항만 협정(Megaports Initiative)'을 체결했다.
- 이 협정은 바하마의 프리포트 컨테이너 포트 터미널에 특수 검색장비를 설치하여 항만 화물 가운데, 몰래 들여온 핵물질과 방사능 화물이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탐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 지금까지 미국 에너지부와 이 같은 협정을 맺은 국가는 네덜란드, 그리스, 스리랑카, 벨기에, 스페인 등 모두 여섯 나라인데, 카리브 해 연안 항만을 끼고 있는 국가 중에서는 바하마가 처음이다.
- 바하마 외무부 장관은 이달 초 발표한 성명에서 이 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미국의 재정지원으로 자국의 프리포트 컨테이너 포트 터미널에 이동식 핵물질 탐사기를 설치하고, 이 같은 장비를 운용하는 인력에 대한 교육도 실시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미국 에너지부의 스펜서 아라함(Spencer Araham) 장관은 자국이 다른 국가와 대형항만 협정을 체결하는 것은 핵물질 등의 밀반입으로 해상운송 네트워크가 단절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서유럽 정부와 보안전문가들은 테러리스트 그룹이 핵무기를 제조하거나 이른바 조잡한 폭탄(dirty bomb)을 만들기 위해 도난당하거나 폐기처분된 핵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대형항만 협정은 미국 에너지부가 이른바 /제2차 방어 프로그램(second line of defence programme)의 하나로 도입된 항만 보안 강화 제도로,
- 테러리스트들이 선박이나 항만 등 해상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핵물질 등을 밀반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다른 나라와 협정을 체결하여 시행하고 있다.
- 이 제도가 미국의 세관/국경보호국이 시행하고 있는 컨테이너 보안협정(CSI)과 다른 점은 소요되는 비용을 미국이 부담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