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운노조 찬반투표 77.1% 상용화 찬성
12월초 희망퇴직자 접수받아 1월부터 시행
부산항에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노무 상용화체제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부산항운노조가 11월 17일 부산항 상용화를 위한 노조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77.1%의 찬성으로 부산항 상용화 도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부산항운노조는 지난 9일 정부, 사측과 합의한 ''부산항 항만인력공급체제 개편을 위한 노사정 세부협약서''에 대한 노조원 찬반투표를 17일 실시했으며 개표결과 상용화 대상인원 1022명중 97.8%인 1000명이 투표에 참여해 이중 771명이 세부 협약안에 찬성했다. 226명은 반대표를 던졌으며 무효 및 기관이 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부는 이에 따라 12월 초까지 희망퇴직자를 접수받고 부산항 상용화 개편위원회에서 퇴직자를 최종 확정하고 연내로 세부 근로조건 등을 노사가 협의해 채용절차를 거쳐 내년 1월부터 부산항에 상용화체제를 본격적으로 가동시킨다는 계획이다.
해양부 김성진 장관은 17일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부산항운노조가 77.1%라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상용화에 합의해 내년부터 부산항에 상용화가 도입되게 됐다. 부산항은 상용화를 위해 노사정이 개편위원회를 구성하고 협상을 통해 상용화를 진행하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좋은 선례를 남겼다. 130년만에 새로운 장을 열게 되는 부산항은 앞으로 상용화를 통해 물류비 절감과 항만자동화 및 현대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진 장관은 또한 "부산항에서 상용화를 위한 세부협상이 마무리돼 현재 상용화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항과 평택항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인천항과 평택항도 많은 부분 협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 중으로 상용화가 도입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역량을 높여나가겠다" 덧붙였다.
한편 김장관은 이번에 상용화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공용부두 등 일부부두에 대해서는 진행중인 부두의 상용화 작업이 완료되고 이후 부산항 신항이 터미널 추가로 개장하면 노조원을 대상으로 우선 채용하는 방식으로 채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