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극히 최근까지 국제무대에서의 지명의 중요성에 대해 과소평가해 왔다며 일본의 지명관리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독도 국제무대에서 지명 인식시켜야” |
김종연 교수, 일본 지명관리 적극적인 대응 필요 강조 |
충북대학교 김종연 교수는 지난 7일 대한상공회의소에게 개최된 ‘2010년 독도?해양영토 정책토론회(주최: 한국해야수산개발원)’에서 “분쟁지역의 영유권에 대한 중립 원칙이 미국의 기본적인 외교 방향이므로 이러한 미국의 기본 방침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대응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영국도 바다의 이름의 지정시 ‘Japan Sea'라는 표기를 사용하므로써 혼란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은 독도관련 사항의 경우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지명분야에서의 국제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국방대학교 김병렬 교수도 ‘독도 연구 60년 평가와 향후 연구 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쟁을 준비하라는 말과 같이 독도문제의 국제재판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재판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60년 동안 50여개의 연구기관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지고 있으나 종합 마스터 플랜이 없기 때문에 연구가 중복되고 있다”며 “연구 종합 마스터 플랜을 작성해 기관간 연구를 분담한다면 중복 연구 또는 누락연구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향후 연구과제로 독도가 우리나라의 고유영토임을 입증하는 각종 기록이나 지도 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해야 하고 고종황제의 칙령 제41호의 ‘석도’가 독도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